본문 바로가기

개발 공부6

앱스토어 리젝 대응(크래시 로그 분석방법) 리젝 발생앱스토어에 앱 심사를 맡기고 하루 뒤 이슈를 발견했다고 메일이 왔다확인해보니 앱 런치 동안에 크래시가 발생해서 리뷰를 할 수 없다고 한다그러면서 크래시가 발생했을 당시의 크래시 로그 5개를 첨부해주며 절차를 따라 이슈를 해결하라고 알려준다 내가 테스트할 땐 별 문제 없었기 때문에 크래시로그 분석을 시작했다 크게 순서는 1. 리젝 발생2. 크래시 로그 분석   -i. symbolicate   -ii.원인식별3. 문제해결크래시 로그 분석-symbolicate크래시로그에는 크래시의 원인과 스레드에서 실행되고 있던 모듈들과 코드가 기록되어있다크래시로그를 보고 바로 해석 가능하다면 베스트! 하지만 위의 이미지처럼 크래시 로그의 일부는 16진수로 이루어져있어 알아볼 수 없다이것을 사람이 알아볼 수 있게 식.. 2024. 8. 12.
애플 개발자 등록하기(feat: apple developer program 등록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) 앱을 배포하기 위해 apple developer에 등록신청을 했다. 정보를 입력하고 신청을 하는 순간 등록을 완료할 수 없다는 화면이 나왔다. 그리고 서치를 해보니 나와 같은 케이스가 국내외로 많다는 것을 알았다. 지불방법을 다시 설정해보고 할 수 있는 것을 다해봤으나 등록을 완료할 수 없다는 페이지는 없어지지 않았다. 문의 결과 등록할 수 없는 이유와 해결 방법에 대해 문의를 넣었으나 아래처럼 답변이 왔다. 실패 이유 서칭을 통해 추정하는 실패 이유를 추정해보았다. 1. 와이파이 - 도서관 공용 와이파이를 사용했는데, 서칭하다보니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고 한다. 2. 잘못된 전화번호 형식 - 국가코드 82, 전화번호 010xxxxxxxx형식을 사용해야하는데 외국 버전으로 작성하는줄 알고 10xxxxxx.. 2024. 3. 15.
ChatGPT 4.0을 무료로 사용가능한 AI 툴 [뤼튼: wrtn] vs ChatGPT 3.5 개발할 때 3.5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고 있었다. ChatGPT-4.0이 나왔다는 소식은 들었지만 유료버전으로 매달 22달러 구독료가 있어서 사용해보진 않았다. 그러던 중 유튜브 숏츠를 통해 4.0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툴인 [뤼튼]의 소식을 접했고 사용해보았다. 사용방법은 간단하다. 뤼튼 사이트에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하면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었다. 아래에 링크를 첨부해두겠다. https://wrtn.ai/ wrtn 모두를 위한 AI 포털 뤼튼. AI 채팅부터 이미지 생성, 나만의 AI 제작까지, 언제 어디서나 생성형 AI와 함께하세요. wrtn.ai 직접 사용해보니 차이점을 체감할 수 있었다. 사람과 채팅하는 것에 비유를 해보자면, 3.5는 답변 속도가 빠르다. .. 2023. 7. 6.
Github 레포에 올린 민감한 정보 예방하기 + 제거하기(.gitignore + BFG Repo-Cleaner 사용법) API호출 시 필요한 개인정보를 레포에 올려버림 -> info.plist에 내용 옮기고 -> gitignore로 info.plist 등록 -> 캐시도 제거 -> 하지만 HomeViewModel.swift 파일에 있던 개인정보는 그대로 커밋에 남아있음 -> BFG 이용하여 커밋에서 HomeViewModel 파일 제거 1. .gitignore를 통해 민감한 정보 제외하여 커밋하기 위의 사진처럼 민감한 정보가 퍼블릭 레포에 그대로 올라가있었다. 해당 ID와 Secret키는 Spotify를 구독해야만 얻을 수 있기 때문에, 악용될 가능성이 있어서 Info.plist에 정보를 넣어준 후 Info.plist파일을 .gitignore에 등록해줄 것이다. Bundle name의 +버튼을 눌러 Key값을 추가하고, V.. 2023. 6. 30.
API호출 후 데이터 가공해서 서버에 저장하기(2) (SwiftUI) 앞글에서 API를 이용하여 1️⃣데이터 호출에 대해 다뤘다. 이번 글에선 2️⃣먼저 호출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부터 이후 3️⃣,4️⃣까지 마무리할 것이다. 1️⃣✅ 데이터 호출 -> 2️⃣호출한 데이터를 가지고 한번 더 호출 -> 3️⃣데이터 파싱 -> 4️⃣Firebase 올리기 앞글 링크: https://yahoth.tistory.com/6 API호출 후 데이터 가공해서 서버에 저장하기(1) (SwiftUI) 향수 관련 앱을 만들기 위해 향수의 정보 데이터가 필요했다. 팀 프로젝트 때 Sephora에서 제공해주는 향수 데이터를 가져다 썼었다. 그 과정에서 우리 팀은 '데이터호출 / 데이터가공' 로 역할을 yahoth.tistory.com 2️⃣호출한 데이터를 가지고 한번 더 호출 앞의.. 2023. 4. 3.
API호출 후 데이터 가공해서 서버에 저장하기(1) (SwiftUI) 향수 관련 앱을 만들기 위해 향수의 정보 데이터가 필요했다. 팀 프로젝트 때 Sephora에서 제공해주는 향수 데이터를 가져다 썼었다. 그 과정에서 우리 팀은 '데이터호출 / 데이터가공' 으로 역할을 나누었다. 호출을 계속 시도하던 중 데이터가 형태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알고 가공으로 넘어가게 됐다. 호출을 하다말아서 아쉬움이 남았고 내껄로 만들자 해서! 그 과정을 공부해보았고 기록하고자 한다. API: RapidAPI 데이터: Sephora 가공: Xcode, Swift 서버: Firebase Firestore 과정 이번 글에선 1️⃣데이터 호출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. 1️⃣데이터 호출 -> 2️⃣호출한 데이터를 가지고 한번 더 호출 -> 3️⃣데이터 파싱 -> 4️⃣Firebase 올리기 본론에 들어.. 2023. 3. 31.

TOP

Designed by 티스토리